본문 바로가기

BOARD

소자본 1인창업, 위탁 판매의 구조를 이해하다.

 

"직장인의 월급 가지고 부자가 될 수 없어요" , "월급상승률보다 물가 상승률이 더 빠른 것 같아요"

이래저래 다양한 이유로 부업, 창업에 대해서 알아보다가 모두가 입을 모아 소개하는 위탁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블로그와 유튜브를 봐도 단어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해서 내용의 흐름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자료를 찾아보며 이해한 내용을 정리했으니 이 글을 읽고 소자본 1인창업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덜 헤매길 바란다.

 

바로 본론 시작합니다.

 

위탁 판매는 내가 물건을 보유하지 않고 마케팅 및 홍보로 판매하는 방식으로

마진이 적지만 초기 투자 비용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물건을 공급하는 도매처/제조사와 마켓팅/판매를 진행하는 본인소비자로 구성된다.

 

위탁은 물건 공급 지역에 따라 국내위탁 방법과 및 해외구매대행이 있다.

 

1. 국내 위탁

이 방법은 물건 공급 및 유통이 국내에서만 진행되기 때문에 사업을 시작하기에 편리하다.

그렇지만 진입장벽이 낮은 만큼 경쟁이 세다.

국내 위탁의 전체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다.

주문 -> 나 -> 도매처/제조사 -> 소비자

소비자는 내가 올린 판매글로 나에게 주문서가 들어온다.

주문서의 내용에 따라 도매처/제조사에서 소비자에게 물건을 보내는 방식이다.

여기서 '나'의 역할은? 마케팅, CS를 담당하여 마진을 취한다.

 

2. 해외구매대행

이 방법은 물건을 해외에서 공급하는 방식으로 국내 위탁에 비해 진입 장벽이 높다.

해외 배송으로 물건이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고객이 교환/반품을 원할 경우에 번거로우며 배송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판매자(나)가 상황에 맞게 처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품한 상품을 재판매할 시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주의)

 

그렇다면 해외구매대행을 왜 하는 것일까?

 

해외 구매대행의 최대 장점은 국내와 비교할 때 물건의 가격이 저렴하고 국내 위탁보다 경쟁이 적어 마전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단순 위탁 판매 방식에서 규모가 커져 사입으로 넘어갈 경우에 국내에 들어오지 않은 물건을 빠르게 판매할 수 있다. 

해외 구매대행의 전체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다.

주문 -> 나 -> 해외 도매처(ex.1688, 타오바오) -> 배송대행지 -> 소비자

(해외 도매처가 국내 개인 소비자에게 물건을 판매하는 방식은 법적으로 문제가 되기 때문에 배송대행지라는 것을 이용)

여기서 '나'의 역할은?

마켓팅 및 판매 + 배송대행지의 주소를 해외 도매처에 보내고 배송 대행지에 소비자에게 주소를 보냄.

 

3. 사입

판매자가 재고를 가지고 마케팅, 판매, 배송까지 소비자에게 물건을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담당한다.

자사의 제품을 판매하는 일반적인 회사가 물건을 판매하는 방식을 생각하면 된다.

물건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모든 과정을 담당하는 만큼 할 일이 많지만 판매자에게 오는 마진이 크다.

단, 예상과 달리 물건이 잘 팔리지 않을 경우에 재고가 쌓일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사입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3PL(물류대행사)

사입으로 작은 사무실에서 취급할 수 없을 정도의 규모를 가지는 경우에 물류대행사를 이용한다.

3PL의 역할은 물건 보관 및 배송이다.

'나'를 대신하여 물건을 가지고 있는 3PL은 소비자에게 물건을 보내준다.

3PL은 검색하면 리스트를 얻을 수 있으며 셀러커뮤니티(ex. 셀러오션)를 이용하여 알아보기도 한다.

선택하는 기준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물류창고에서 물류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다.

바닥, 물류정리 상태를 확인하고 연락이 잘되는지 확인한다.

오배송이나 주문 누락, 취소 등 주문 정정을 필요로 할 경우, 연락이 늦어지면 손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건이 되는 경우, 한 곳만 이용하지 않고 여러 곳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3PL의 비용은 택배비, 작업비, 입고비, 보관비 등등 물건 취급에 필요한 모든 금액을 고려하여 책정한다.

다양한 곳을 알아보고 비교하여 나와 맞는 거래처를 찾도록 한다.

 

4. 매출의 구조 (국내 위탁 VS 해외 구매대행)

  국내 위탁 해외 구매대행
판매 가격 50,000 50,000
원가 20,000 20,000
배송 비용 10,000 10,000
매출 50,000(판매 가격) 50,000-(20,000+10,000)=20,000 (마진)

 

해외 구매대행은 서비스업이기 때문에 매출 산출법이 다르다.

판매금액에서 중간 과정의 금액을 뺀 마진이 매출이다.

=> 세금 신고시 매출 증빙 자료를 제출해야 할 수 있으니 꼭 리스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기본 중에 기본이라고 소개하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국내 및 해외의 위탁 및 사입의 구조에 대해서 이해가 되었길 바랍니다.

앞으로 천천히 하나씩 공부하면서 베테랑 사업가가 되어봅시다. 파이팅!

반응형